이런저런 잡설

울금에 대한 잡설

수水 2010. 2. 12. 10:42

 

 

 

 

울금[鬱金]

 

 

 

 

 

 

 

 

 

 

다른이름 : 馬述(마술),黃鬱(황울)
약       맛 : 고(苦) 신(辛)
귀       경 : 간(肝) 심(心) 폐(肺) 담(膽)
주       치 : 經痛,經閉,衄血,膽石症,痰熱→神志昏蒙,腹痛,胃痛,積聚,癲癎,癲狂,呃逆,吐血,血淋,脇痛,黃疸,胸痺
약용부위 : 덩이뿌리
금       기 : 陰虛失血者와 氣滯血瘀가 없는 者는 服用을 忌하고, 孕婦는 愼用하여야 한다. 丁香을 畏한다.
효       능 : 凉血止血,凉血淸心,利膽退黃,行氣解鬱,活血破瘀
주치증상 : <당본초(唐本草)> : 혈(血)이 쌓인 것을 치료하고 기운을 아래로 내리며 새살이 돋게 하고 지혈시키는 효능이 있다. 또한 나쁜 혈(血)을 제거하고 소변에 피가 나오며 시원하게 보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고 창칼에 다친 상처를 치료한다.
<견권(甄權)> : 울금만 사용하여 부인의 월경불통(月經不通), 심복통(心腹痛), 냉기적취(冷氣積聚)를 치효하는데, 따뜻한 식초에 갈아서 복용한다. 말의 脹痛도 치료한다.
<장원소(張元素)> : 心을 시원하게 한다.
<이고> : 양독(陽毒)이 위장에 들어가서 자주 대변에 피가 나오며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이시진(李時珍)> : 혈기(血氣)의 이상으로 인한 심복통(心腹痛)을 치료하고 産後의 血이 손상되어 병의 기운이 심장으로 치밀어 올라 죽을 지경인 것을 치료하고 간질발작과 나쁜 기운을 치료한다.
약물이름의 기원 : 이명으로는 '마술'이 있다.
주진형(朱震亨) : 울금(鬱金)은 향은 없으나 약성이 가볍고 휘발성이 있으니, 능히 그 기운이 높고 먼 곳까지 도달할 수 있다. 옛 사람들은 기가 막혀서 위로 올라가지 못하는 증상에 사용했었는데 이러한 효능 때문에 이름을 붙인 것 같지는 않다.
이시진(李時珍) : 술과 울창을 섞은 것을 옛 사람들은 로마에서 생산되는 鬱金花香이라고 하였고, 송나라 鄭樵의 <通志>에서도 곧 이것이 鬱金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夏殷周 시대에는 로마와 中國이 아직 통하지 않았으니, 이 약초를 구할 수 없었을 것이다. 羅愿의 <爾雅翼>에서도 역시 이것은 뿌리이며, 술과 함께 섞으며 누렇게 되어 金처럼 되니 黃流라고 한다고 하였는데, 그 말이 이치에 맞다. 이 뿌리는 모양이 莪?과 비슷하고 말의 질병을 치료하므로 '마술'이라 한다.

 

 

울금의 효능


★ 간염, 고혈압, 동맥경화, 위염, 황달, 항암, 장 해독촉진, 강심, 이뇨, 콜레스테롤 억제,     골수종 세포사멸, 효과. 또 노화와 활성산소의 제거나 항산화작용에도 좋은 약초이다.

* 울금은 암(특히 유방암), 치매예방, 숙취해소, 비만에 좋으며,

*기를 소통시키고 울체된 것을 풀어주며, 피의 열을 내려주고 어혈을 치료한다.

* 흉부와 복부, 옆구리에 통증이 있을 때 효과가 있다.

* 열병에 의한 정신혼미, 토혈, 코피, 혈뇨, 황달 등을 치료

* 급체, 치질 등에 쓰임

* 인도등 열대지방이 원산지로 카레나 노란색 식용색소의 원료로도 사용한다

  카레의 원료다.


◆<주의사항>


임산부는 금기이나 출산후 어혈을 푸는데 좋은 효과가 있으며,

소화력이 떨어지는 사람이나 몸이찬사람은 한꺼번에 많이 먹으면

오히려 위에 부담을 주므로 조금씩 먹어야 한다.

오래먹으면 위장이 튼튼해지고, 몸이 따뜻해진다.


◆복용방법


울금의 껍질을 잘벗겨 잘게 썬후 꿀이나 설탕을 적당히 타서 끓여 마시거나. 소주와 설탕을 3개월이상 숙성후 마시면 좋다.(소주1리터: 울금500~600그램 :설탕25~30그램)

분말로 복용시....티스푼으로 아침저녁으로 식후 복용, 모든 음식에 첨가해서 복용.


◆ 인체내 기관별 효능


위장_위산분비조절 위염 건위 위궤양

간장_담즙분비 촉진 간 해독기능 향상 황달 담낭결석 간장질환 담관염 간염

자궁_ 생리불순 월경통 자궁근종 산후복통 우월경

심장_ 동맥경화 혈행활성 관상동맥 반괴형 성감소 강심작용 고혈


◆ 울금이 간장을 지키는 3가지 주요작용


1. 알코올 분해촉진

2. 음주 스트레스등으로 발생하는 활성산소를 억제

3. 과산화 지질등 유해물질을 무해화 하는 해독효소의 작용을 높임

 

울금의 효능

SBS 비법대공개 

▶울금 :카레에 들어 가는 노란색을 내는 주성분

▶영국에서는 잘먹고 잘사는 법 20가지에 '카레를 충분히 섭취할 것'을 권장!!

▶ 노년의 재앙, 알츠하이머를 막는 카레를 매일 먹는 인도인의 치매 발생률은 세계에서 가장 낮다.
    인도의 일부지역, 65세 이상 노인의 치매 발병률이 1%에 그치며,
    이는 한국은 10%수준에 불과하다.
    2001년 미국 신경학회지에 의하면 인도 사람들은 미국 사람들의 비해
    알츠하이머의 발병률이 4분의 1에 불과하다고 한다.

 

▶ 암의 공포에서 벗어나는 법, 답은 카레에 있다.
    2002년 세계보건기구(WHO)의 자료에 의하면 카레 섭취율이 높은 인도인의 암 발병률이 미국의

    암 발병률의 1/7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카레의 주원료인 강황의 커큐민이라는 성분 때문이라고 함
    세계 의학계에서는 지금 카레를 주목하고 있다.

 

▶ 아침 방송 이야기
   65세된 전립선말기 암 환자인데 병원에서도 수술을 포기하였는데 울금을 6개월째 복용한 결과

   암세포가 거의 사라졌다고 함

 

 

전남 진도를 중심으로 국내 토속유입 식물이었던 울금이 재배의 맥이 이어져 여러 농가에 울금을 널리 보급이 되고 있습니다. 우리 일반인들이 "울금" 하면 낯설어 하는 이유가  울금이 왕실에서만 쓰였기 때문에 일반인들에게는 다소 생소하게 여겨지리라 봅니다.


울금의 가장 큰 매력은 재배과정중 병해충이 없는 식물입니다.

울금의 향과 성분 때문에 좀처럼 병해충이 발생하지 않아서 농약을 전혀 살포할 필요가 없습니다. 울금 꽃과 울금 잎에서 살균성분이 있는 정유성분의 향이 발생되기 때문에 곤충들이 꼬이지 않습니다. 달리 해석 해 보면 울금이 향이 강하다고 표현 할 수도 있을지 모르겠지만 인도에서는 스님들이  울금으로 염색한 옷을 맨살 위에 입지 않습니까?

덕분에 구기자 나무 옆에 울금을 심거나 고추나무 옆에 울금을 심을 경우 타작물의 병해충 발생까지 낮추어 주는 효자 식물입니다.


울금은 사람뿐만 아니라  항생제  대용으로  양식장에서 물고기들의 사료에 울금 분말을 섞어서 주면 물고기도 튼튼히 자라게 됩니다.


일부 남부지방연안 양식장과 제주도 양식장에서 울금 분말을 먹이기 시작 했으며 양계와 축산 쪽에서도 울금 분말을  먹이기 시작 했습니다.

봄에  울금을 정성스레 심어 놓고 가뭄철에 관수 작업을 해 주면서 울금 농사를 손쉽게 재배 할 수 가 있습니다. 퇴비들을 많이 주어야 잘 자라고 밑도 좋아지고 성분도 좋아지는 것이라고 말씀을 하셨습니다.


울금은 인도가 원산지이지만 인도산 울금과 국내산 울금을 비교해 보면 인도산 울금은 향신료적인 성향이 강하여 카레의 향이 강하게 납니다. 반면 국내 진도산 울금은 민간학쪽에 가까운 성향을  보이므로 카레의 향보다는 생강 쪽에 가까운 향이 납니다. 진도지방 울금은 소나무향이  많이 납니다.


인도산 울금을 분말로는 한 스푼 떠서 쉽게 먹을 수 없지만 국내산 울금은 분말은 한약적인 성향이 강하며 우리 지역에서 생산 재배되어 한국인 체질에 가장 잘 맞습니다.


한 지방 내에서도 일조량의 차이와 토질의 뚜렷한 차이를 보입니다. 무조건 가격이 싼 것도 무조건 가격이 비싼 제품도 여러 가지 면에서 고려 해 보아야 할 것입니다.


울금이 가지는 여러 가지 이로운 점을 살리어 우리 일상생활에서 녹차나 홍차처럼 부담 없이 애용 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던 차에 노란분말 보다는 울금을 발효시켜 제품화 하여 맛과 향을 부드럽게 개선시켜  꾸준히 사랑 받는 기호식품으로 자리 잡으려 합니다.


어떤 식품이든지 수 십년 장복을 할 경우 열성쪽이든 냉성쪽이든 몸에 변화를 줄 수 있습니다.

울금은 두가지 기운이 있습니다. 민간학적으로 보면 노란 성질과 쓴맛은 熱을 내리는 성향으로 분리 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울금의 정유성분중 진기베런이라는 성분은 생강처럼 열을 돋우어 주는 성향을 뜁니다. 그래서 아이러니 하게도 울금은 모든 성향에 맞습니다.

발효울금 제품의 특징은 울금=>세척=>절각=>저온건조=>1.2.3차분쇄=>황색분말 =>발효 =>출하

노란 분말을 한 단계 더 공정을 거쳐 우리 한국인의 발효음식문화와 동일한 발효방법으로 울금 제품을 가공 합니다.


울금을 분말 가공하여 단순히 노란분말로 판매를 하면 제조단가가 낮추어 져서 업체에겐 도움이 더 되겠지만 기호식품으로 꾸준히 사랑받기 위해서는 발효공정을 택하여 발효시키고 있습니다. 


일본을 한두 번쯤 방문하신 분들이라면  공항 면세점에 가보시면 발효울금(우콘)제품들을 보실 수 있을 겁니다. 일본 제품의 90%이상이 발효제품입니다.


우리의 전통적인 발효식품인 된장, 고추장 김치들도 발효되기 전 잔류 되었던 좋지 않던 물질들도 발효과정을 거치면서 중화되고 오히려 좋은 물질들이 생성이 되는 것이 MBC다큐멘터리 특집 '2005 곰팡이' 라는 프로그램에서 심도 깊게 다루어 주었습니다.


울금을 발효시키면 장기적으로 음용하여도 부담 없는 하나의 식품으로 자리 할 수 있기 때문에 장복을 하실 경우에도 무리가 없으실 겁니다.

제품은 환, 농축액, 분말제품과 황실차라해서 티백제품으로도 나와 있습니다.

  

뵥용방법


▪ 울금차 : 생울금의 껍질을 벗겨 잘 게 썬 후 꿀이나 설탕을 적당히 타서 끓여 마신다.

▪ 울금주 : 생울금의 껍질을 벗겨 소주와 설탕을 혼합하여 3개월 이상 숙성 후 마시면 좋다. (소주 1.0리터 : 울금 500~600g : 설탕 25~30g)

▪ 식수로 음용 : 생강황(울금)의 껍질을 벗겨 잘 게 썰어 물에 넣고 끓인 후 식수대용으로 마시면 좋다 (물 1.8리터 : 울금 30~40g)

▪ 분말로 복용 시 : 티스푼으로 아침저녁으로 식후 복용하시고모든 음식에 첨가해서 식용하셔도 좋습니다.


인체 내 기관별 효능

▪ 위장 - 위산분비 조절, 위염, 건위, 위궤양

▪ 간장 - 담즙분비 촉진, 간애독기능 향상, 황달, 담낭결석, 간장질환, 담관염, 간염

▪ 자궁 - 생리불순, 월경통, 자궁근종, 산후복통, 우월경

▪ 심장 - 동맥경화, 혈행활성, 관상동맥 반괴형, 성감소, 강심작용, 고혈

▪ 기타 - 항산화작용- 노화예방, 향염, 항균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