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큰꽃으아리 - | |||||||||||||||||||||||||||||||||||||||||||||||||||
숙근성의 여러해살이 덩굴성의 나무이다. 마치 덩굴식물로 보이나 줄기부는 목질화하여 겨울에 얼어 죽지 않으므로 나무로 취급된다.
허리를 다치거나 등뼈에 이상이 생겨서 아픈 것은 쉽게 진단할 수 있으나 배나 골반, 다른 장기에 이상이 생겨서 나타나는 요통은 원인을 찾기 어렵다. 허리가 몹시 아파서 병원에서 갖가지 검사를 다 해 보아도 아무런 진단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럴 때에는 그 원인을 알지 못하고 다만 요통이라고 진단을 내리게 된다. 요통이나 관절염, 신경통, 견비통 등에는 위령선이 가장 잘 듣는다. 위령선 한 가지만 써도 되고 두충이나 접골목 같은 약초와 같이 써도 좋다.
▶통증을 멎게 하고 풍습을 없애는 위령선 위령선은 미나리아재비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덩굴식물로 우리말로는 사위질빵이라고 부른다. 물기 있는 산골짜기의 기슭이나 들에 흔히 자란다. 길이는 4~8미터쯤 자라고 초여름에 흰 꽃이 피어서 가을에 날개가 달린 열매가 익는다 덩굴 줄기는 칡넝쿨처럼 질기지 않고 잡아당기면 뚝 뚝 잘 끊어진다. 사위질빵이라는 이름은 사위를 몹시 사랑하는 한 장모가 사위를 아끼는 마음에 사위한테 무거운 짐을 지우지 않으려고 쉽게 뚝뚝 잘 끊어지는 이 식물의 줄기를 질빵 끈으로 썼다는 옛 이야기에서 나온 것이다. 줄기와 뿌리를 약으로 쓰면 비슷한 식물인 으아리나 할미망을 위령선으로 대신 쓰기도 한다. 또 으아리를 위령선이라 하고 사위질빵을 여위女萎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으아리와 사위질빵을 닮은 식물이 우리나라에만 백 가지가 넘고 어느 것이나 같은 용도의 약으로 쓸 수 있다. 으아리보다는 사위질빵이 효과가 더 낫다. 으아리는 따윗줄기가 겨울에 말라죽고 사위질빵은 줄기가 겨울에도 말라죽지 않는다 으아리는 가을에 뿌리를 캐서 약으로 쓰고 사위질빵은 가을이나 겨울에 굻은 줄기를 잘라서 약으로 쓴다. 위령선은 걸음을 걷지 못하던 사람이 아침에 먹고 저녁에 걸어 다닐 수 있게 되었다고 할 만큼 약효가 빨리 나타나는 것으로 유명하다. 위령선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한다.
▶ 풍습으로 인한 중풍을 고친 이야기 옛날 중국의 하남성 복우산에 금실이 좋은 부부가 살았다. 어느 날 남편이 늦도록 일을 하고 나서 술을 마시고 돌아오다가 집 앞의 돌계단에 누워 잠이 들었다. 아내가 늦게 마중을 나오다가 남편을 발견하고 깨웠더니 이미 남편은 중풍을 맞아 팔다리를 움직이지 못했다.아내는 의원을 불러 치료를 받게 하고 10년동안을 정성스럼게 간호했지만 남편의 병은 더 심해져서 혼자서는 돌아눕지도 못한 지경이 되었다. 아내는 남편의 병을 고칠 수 있는 방법을 찾던 끝에 남편이 누운 침대를 사람이 많이 다니는 큰길가에 내놓고 옆에 앉아서 큰 소리로 외쳤다. "누구든지 이 사람의 병을 고쳐 주십시요." 지나가던 사람이 모두 걸음을 멈추고 돌아보며 혀를 끌끌 찼다. 그렇게 열흘이 지났을 때 지팡이를 짚고 보따리를 둘러 맨 한 노인이 지나가다가 걸음을 멈추고 말했다. "이 사람의 병은 풍습風濕으로 인한 중풍인데 내가 고칠 수 있소" 노인은 산으로 가서 어떤 덩굴의 뿌리를 캐서 술에 담갔다가 끓여 환자한테 먹이고, 또 가루를 내어 식초와 반죽하여 관절을 싸매 주었다. 며칠 안 되어 환자는 팔다리를 움직이기 시작했고 몇 달 뒤에는 지팡이를 짚고 걸어 다닐 수 있게 되었다. 남편의 병을 고치고 나서 노인이 떠나려 할 때 아내가 말했다. "어르신네, 남편의 병을 고쳐주셔서 고맙습니다. 이 신기한 약초의 이름을 가르쳐 주십시오" "이 약초는 본래 이름이 없으니 위령선이라고 부르도록 하십시요, 위威는 강하다는 뜻이고 영선零仙은 효력이 신선과 같이 영험하다는 뜻 이지요"
▶위령선을 이용한 질병 치료 위령선은 신경통, 안면신경마비, 중풍, 편두통, 근육마비, 류머티스성 관절염, 무릎이 시리고 아픈데. 허리가 아픈데. 통풍, 손발이 마비된 데. 목구멍에 가시가 걸린 데 두루 좋은 효험이 있다. 특히 몸속의 바람기를 내보내고 습기를 없애며 경락을 통하게 하고 통증을 멎게 하는 작용이 매우 빠르다. 신경통과 관절염, 요통, 타박상 등에는 접골목과 함께 쓰면 효과가 더욱 빠르다. 이뇨 작용도 뛰어나서 신장염으로 인한 부종에도 잘 듣는다. 그러나 아네모닌과 아네모놀이라는 독성 성분이 들어 있으므로 한꺼번에 너무 많은 양을 쓰면 안 된다. 위령선은 맛이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설사와 이질을 멎게 하며 탈항, 임산부의 부종, 근육과 뼈의 여러 질병을 치료하고 단단한 것을 무르게 한다. 토사곽란(구토와 설사를 하면서 배가 뒤틀릴 듯 아픈 증상)장에서 가스가 차고 소리가 나는 것 ,간질, 정신분열증, 땀이 많이 나는데, 한열로 인해 생긴 모든 병에도 효과가 있다.
유기열의 씨알 여행에서 (펌)
≪ 위령선 무엇인가? ≫
신경통 관절염 사지마비를 풀어주는 위령선
▶ 중추신경 특히 호흡중추 흥분작용, 진통작용, 수증기 증류액은 마비회복작용, 풍습비증(風濕痺證), 허리와 무릎이 아픈 데, 사지마비, 근육마비, 관절마비, 근육위축, 근육아픔, 허리아픔, 언어장애, 손발마비, 통풍, 뇌종양, 월경불순, 뱃속이 차고 아픈 데, 각기, 징가(癥瘕), 현벽, 류마티스성 관절염, 신경통에 효험있는 위령선
위령선은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에 속하는 갈잎덩굴식물이다. '으아리'라고 부른다. 길이는 약 4~10m 까지 자라며 잎은 마주나고 깃꼴겹잎이며 작은 잎은 보통 5개이지만 드물 게 3개일 때도 있다. 뒷면에 잔털이 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거나 1~2개의 결각상 톱니가 있기도 하며 잎맥은 3줄이다. 꽃은 잎 겨드랑이에 1송이씩 달리고 지름이 5~10cm 이며 흰색으로 핀다. 개화기는 5~6월이고 결실기는 6~7월이다. 산과 들, 밭둔덕, 길가에서 자란다.
위령선의 다른 이름은 위령선[威靈仙: 후녕극, 약보(侯寧極, 藥譜)], 능소[能消: (開寶本草)], 위령선[威靈仙: 소침양방(蘇沈良方)], 위령선[葳苓仙: 진주낭(珍珠囊)], 철각위령선[鐵脚威靈仙: 본초강목(本草綱目)], 영선[靈仙: 약품화의(藥品化義)], 흑각위령선[黑脚威靈仙: 생초약성비요(生草藥性備要)], 구초계[九草階, 풍차:風車: 현대실용중약(現代實用中藥)], 선수묘[鮮鬚苗: 남경민간약초(南京民間藥草)], 흑골두[黑骨頭, 흑목통:黑木通: 귀주민간방약집(貴州民間方藥集)], 철간위령선[鐵桿威靈仙: 약재자료휘편(藥材資料彙編)], 철선추[鐵搧帚: 절강중약수책(浙江中藥手冊)], 칠촌풍[七寸風: 광서중수의약식(廣西中獸醫藥植)], 철각령선[鐵脚靈仙, 우한초:牛閑草, 우간초:牛桿草: 강소식약지(江蘇植藥誌)], 노호수[老虎鬚, 랄초등:辣椒藤: 육천본초(陸川本草)], 철영선[鐵靈仙: 하북약재(河北藥材)], 영선등[靈仙藤, 흑영선:黑靈仙: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흑수공[黑鬚公, 지사등근:芝査藤根: 광동중약(廣東中藥)], 으아리, 외대으아리, 큰꽃으아리 등으로 부른다.
중국에서는 16가지 종류를 위령선이라고 하여 약으로 사용한다. 그 종류를 보면 아래와 같다.
1, 위령선(威靈仙: Clematis chinensis Osbeck.) 2, 산료(山蓼, 면단철선연:綿團鐵線蓮, 흑미:黑薇, 협엽철선연:狹葉鐵線蓮=Clematis angustifolia Jacq.: Clematis hexapetala Pall.) 3, 소목통(小木通, 천목통:川木通: Clematis armandi Franch.) 4, 주과철선련(柱果鐵線蓮, 노호사등:老虎師藤: Clematis uncinata Chmp. et Benth.) 5, 모주철선연(毛柱鐵線蓮: Clematis meyeniana Walp.) 6, 단엽철선연(單葉鐵線蓮, 설리개:雪里開: Clematis henryi Oliv.) 7, 산목통(山木通: Clematis finetiana Le'vl. et Vant.) 8, 동북철선연(東北鐵線蓮: Clematis manshurica Rupr.) 9, 황약자(黃藥子, 철각위령선엽:鐵脚威靈仙葉: Clematis paniculata Thunb.) 10, 단경발계(短梗菝葜, 금강자:金剛刺: Smilax scobinicaulis C. H. Wright) 11, 초병발계(鞘柄菝葜, 초발계:鞘菝葜: Smilax stans Maxim.) 12, 화동발계(華東菝葜, 점어수:粘魚鬚: Smilax sieboldi Miq.) 13, 윤엽파파납(輪葉婆婆納: Veronicastrum sibiricum {L.} Pennell) 14, 현맥선복화(顯脈旋覆花, 초위령:草威靈: Inula nervosa WALL.) 15, 화중위령선(華中威靈仙 즉 백화등:白花藤) 16, 금전도(金剪刀, 하변위령선:河邊威靈仙, 호주철선련:湖州鐵線蓮: Clematis huchouensis Tamura.) 17, 기타 위령선(威靈仙: Clematis discoreifolia)
[성분]
1, 위령선(威靈仙)의 뿌리는 anemonin, anemonol, sterol, 당류, 사포닌(saponin), lactone, phenol류, 아미노산(amino acid)을 함유하고 있다. 잎은 lactone, phenol류, triterpenoid, 아미노산(amino acid), 유기산을 함유하고 있다.
2, 산료(山蓼)의 잎은 coumarins 0.82%, kaempferol 등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류 0.23% 및 알카로이드(alkaloid), volatile oils, 수지 등을 함유하지만 사포닌(saponin), 탄닌(tannin), cardiacglycoside류는 함유하지 않는다.
3, 동북철선연(東北鐵線蓮)의 뿌리는 triterpenoid계 사포닌(saponin), clematoside A, clematoside A', clematoside B, clematoside C를 함유하고 있다.
4, 황약자(黃藥子) 및 그 변종의 뿌리는 사포닌(saponin), hederagenin을 함유하고 있다. [중약대사전]
[약리작용]
1, 순환 계통에 대한 작용 협엽철선연(狹葉鐵線蓮: Clematis. angustifolia Jacq.) 즉 산료(山蓼)의 50% 침제(1ml/kg)는 마취한 개의 혈압을 내리고 신장의 용적을 축소시키지만 탕제의 약효는 침제의 절반 이하이다.
두꺼비의 적출 심장에 대해서는 먼저 억제하고 후에 흥분시키는 작용이 있으며 이 작용에 대한 침제의 약효는 탕제 약효의 약 3~5배이다. 이 강압 작용은 심장에 대한 억제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2, 평활근에 대한 작용 협엽철선연(狹葉鐵線蓮)의 탕제는 마우스의 적출 장관에 대해 뚜렷한 흥분 작용이 있지만 이것은 평활근에 대한 직접 작용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rat 및 rabbit의 적출 장관에 대해서도 비슷한 작용이 있다. 마우스의 적출 자궁에 대한 작용도 뚜렷하지 않다.
3, 항이뇨 작용 협엽철선연(狹葉鐵線蓮)의 제제는 mouse, rat, guinea pig에 대해 현저한 항이뇨 작용이 있다. 이 작용은 침제나 탕제 모두 비슷하다. 50%의 탕제 0.2ml는 뇌하수체 후엽 호르몬 0.1단위의 항이뇨 효과아 거의 같고 그 작용하는 시간은 뇌하수체 후엽 호르몬보다도 길다. 이 작용도 혈압 강하, 신장 혈관의 수축과 관계가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4, 혈당 저하 작용 위령선(威靈仙)의 침제는 정상적인 rat에 대해 포도당의 동화 작용을 현저히 증강시키기 때문에(즉 rat에 대량의 포도당을 먹인 다음 요당 시험을 한 결과 음성이었다) 현저한 혈당 저하 작용이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5, 기타 작용 위령선(威靈仙: 품종은 일정하지 않다)의 탕제 0.025g/10g(최소 치사량의 1/8)을 마우스에게 복강 주사하면 통각(痛覺) 역치가 높아지기 때문에(열판법:熱板法) 진통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1:3 침제는 in vitro에서 피부 진균에 대해 약간의 억제 작용이 있다. 화중위령선(華中威靈仙 즉 백화등:白花藤, 품종은 감정하지 않았다)에서 뽑은 성분인 anemonin에는 항균 작용이 있다.
또 다른 종류의 위령선(威靈仙: Clematis discoreifolia)의 물에 의한 추출물도 protoanemonin을 함유하고 있는데 항균 성분으로 보인다.
[위령선 법제하는 방법]
1, 위령선(威靈仙): 이물질과 남은 줄기를 제거하고 물에 담가서 충분히 적신 다음 꺼내어 토막으로 썰어 햇볕에 말린다.
2, 주령선(酒靈仙): 위령선 토막을 황주(黃酒)에 넣고 잘 섞어 충분히 스며들 게 한 후 가마에 넣고 약한 불에 약간 볶아 말리고 꺼내서 식힌다(위령선 60kg 당 황주(黃酒) 7.2kg~9kg을 쓴다).
위령선(威靈仙)은 맛은 맵고 짜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있다.
1, <개보본초>: "맛은 쓰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2, <진주낭>: "맛은 달다." 3, <본초강목>: "약간 맵고 짜다." 4, <본초봉원>: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고 약간 독하다."
위령선(威靈仙)은 방광경(膀胱經)에 작용한다.
1, <신농본초경소>: "족태양경(足太陽經)에 들어간다." 2, <본초구진>: "주로 방광경에 들어가며 장(腸), 위경(胃經)에도 들어간다." 3, <본초재신>: "폐(肺), 신(腎)의 2경(經)에 들어간다."
위령선(威靈仙)은 풍사(風邪)을 몰아내고 습사(濕邪)를 없애고 경락을 소통시키며 담연(痰涎)을 없애고 벽적(辟積)을 흩어 버리는 효능이 있다. 통풍(痛豊), 완비(頑痺), 요슬냉통(腰膝冷痛), 각기, 학질, 징가적취(癥瘕積聚), 파상풍, 편도염, 목안에 뼈가 걸린 것을 치료한다.
1, <당본초>: "요(腰), 신(腎), 각슬(脚膝), 적취(積聚), 장내(腸內)의 모든 냉병(冷病)이 오래 낫지 않을 경우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
위령선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위령선(威靈仙) //으아리// [본초]
바구지과에 속하는 다년생 덩굴풀인 으아리(Clematis mandshurica Maxim.)와 외대으아리(Clematis brachyura Maxim.)의 뿌리를 말린 것이다. 각지의 산에서 널리 자란다. 가을과 봄에 뿌리를 캐서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맛은 쓰고 성질은 따뜻하다. 십이경맥(十二經脈)에 모두 작용하나 주로 방광경(膀胱經)에 작용한다. 풍습(風濕)을 없애고 가래를 삭이며 기(氣)를 잘 돌 게 하고 통증을 멈춘다.
약리실험에서 달인액은 중추신경 특히 호흡중추 흥분작용, 진통작용을 나타내고 수증기증류액은 마비회복작용을 나타내었다. 풍습비증(風濕痺證), 허리와 무릎이 아픈 데, 사지마비, 뱃속이 차고 아픈 데, 각기, 징가(癥瘕), 현벽 등에 쓴다. 류마티즘성 관절염, 신경통에도 쓴다. 하루 6~12g을 물로 달이거나 술에 담거나 가루내거나 환을 지어 먹는다.]
으아리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으아리(Clematis mandshurica Maxim.)
다른 이름: 어사리
식물: 덩굴뻗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인 5~7개의 쪽잎이 모인 잎이고 흰 꽃이 핀다. 열매에는 꼬리 모양의 흰 털이 있다.
전국 각지의 낮은 산, 산기슭, 길가의 양지에서 자란다.
뿌리(위령선): 봄 또는 가을에 뿌리를 캐어 물에 씻어서 햇볕에 말린다.
외대 으아리(C. brachyura Maxim., 줄기가 외대이고 잎은 3개의 쪽잎으로 된 모인잎이다), 참으아리(C. maximowicziana var. Paniculata=C. paniculata Thunb.)의 뿌리도 동약 위령선으로 쓴다.
성분: 뿌리에는 사포닌과 아네모닌, 적은 양의 기름이 있다. 이레이세린은 여러 가지 물질의 혼합물이다.
전초에는 사포닌과 약 0.2%의 플라보노이드가 있는데 같은 속 식물에서는 쿠에르세틴, 켐페롤이 분리되었다. 잎의 용혈 지수는 1:2,250, 거품지수는 1:3,000이다. 신선한 잎에는 100mg% 이상의 아스코르브산이 들어 있다.
뿌리에는 사포닌 성분으로 클레마토시드 A, B, C가 분리되었는데 헤데라게린과 올레아놀산의 글리고시드이다. 그 가운데에서 클레마토시드 C는 올레아놀산과 람노오스, d-글루코오스, l-아라비노오스, d-크실로오스로 되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신선한 식물에는 포로토아네모닌 C5 H4 O2(기름 모양 액체이고 냄새가 있다)이 있다. 이 성분은 안정하지 못하여 가공할 때 중합되어 자극성이 없는 결정인 아네모닌 C10 H8 04(녹는점 157~158℃)이 된다.
아네모닌은 오래 두면 생물학적 활성이 없는 아네모닌산 C10 H12 O6이 된다. 프로토아네모닌은 미나리아재비과 식물에 널리 들어 있는 성분이다.
작용: 뿌리 추출액은 동물 실험에서 마비 작용이 있으며 혈압을 내리고 콩팥을 수축시킨다. 수증기 증류한 기름은 신경마비를 회복시킨다.
프로토아네모닌은 독성이 있고 국소자극작용고 괴사를 일으킨다. 적은 양에서는 중추신경 계통에 대한 자극 작용이 있고 망상내피 계통의 기능을 높여주며 적혈구와 헤모글로빈의 수를 늘린다. 또한 항세균작용(포도알균, 장간균, 칸디다)과 곰팡이에 대한 억제작용이 있다.
뿌리 50% 달인액 0.2ml는 뇌하수체후엽호르몬(피튜이트린) 0.1 단위와 맞먹는 항오줌내기작용이 있으며 그 작용 세기는 오히려 길다. 이 작용은 흰생쥐, 생쥐, 모르모트에서 모두 있었다.
응용: 동의치료에서 뿌리는 풍을 내보내고 습을 없애며 경락을 통하게 하는 작용이 매우 빠르게 나타나므로 풍한습비, 근육마비, 관절마비, 근육위축, 신경통, 류마티즘, 근육아픔, 허리아픔, 언어장애, 손발마비, 통풍 등에 아픔멎이약으로 쓴다. 또한 월경불순에 통경약으로 쓴다.
으아리 달임약(6~12g: 200cc): 류마티스성 관절염, 신경아픔에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또는 땃두릅 뿌리 30g, 으아리 뿌리 20g을 함께 달여서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위령환: 으아리 뿌리 가루 150g에 꿀 150g을 섞고 1g짜리 둥근 알약을 만든다. 검은 밤색이며 자극성 맛이 있다.
아픔멎이약, 진경약으로 편두통, 신경아픔, 관절아픔, 안면신경마비, 통풍에 쓴다. 한번에 7~8g씩 하루 3번 먹는다.
신경환: 창출 150g, 으아리 뿌리 100g, 오갈피나무껍질, 바곳 덩이 뿌리(볶은 것), 땃두릅뿌리, 황경피나무껍질, 천남성 뿌리 줄기(볶은 것) 각각 50g을 가루낸 다음 꿀로 반죽하여 1kg을 만들고 둥근 알약을 빚는다. 한 알의 무게는 1g이다.
어두운 밤색이고 특이한 냄새와 달고 쓴 맛이 있다. 신경아픔, 관절염, 류마티즘에 한번에 1g씩 하루 3번 먹는다.
진통환, 삼묘환의 처방에 들어간다.
참고: 동약 위령선의 기원 식물은 옛 동의문헌을 보면 현삼과의 Veronicastrum sibiricum이라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현재 이용되고 있는 것은 Clematis속이다.
위령선이란 이름은 이 동약의 약효에서 온 것이다. 즉 그 성질이 맹렬하다는 뜻에서 위, 그 효력이 빠르다는 뜻에서 영선이라 부르게 되었다. 동의문헌에는 이 약이 여러 가지 풍을 없애고 12경맥을 통하게 하며 아침에 쓰면 저녁에 효과가 나타난다고 한다. 옛날에 손발이 마비되어 수십 년 동안 걷지 못하던 사람이 이 약을 달여 먹고 며칠 만에 걷게 되었다고 약효를 설명하고 있다.]
으아리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뇌종양 신선한 금전도(金剪刀) 적당량에 적은 양의 식염을 넣고 짓찧어 머리에 바르고 24~36시간 후에 닦아낸다. 국부에 물집이 생겼다면 침으로 터뜨린 다음 보통 한 번 바르면 낫는다. [중약대사전]
금전도[金剪刀: Clematis huchouensis Tamura.)는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에서 풍을 제거하고 부기를 가라앉히는 효능이 있다. 깊은 곳에 생긴 농양, 류마티스성 관절염, 뇌종양을 치료한다. 외용시 신선한 전초 적당량을 짓찧어 아픈 곳에 바른다. 여름과 가을에 채취해서 신선한 것을 쓴다. 다른 이름은 하변위령선(河邊威靈仙), 호주철선련(湖州鐵線蓮) 등으로 부른다.
13, 깊은 곳에 생긴 농양과 류마티스성 관절염 신선한 금전도(金剪刀)를 짓찧어 아픈 곳에 24시간 동안 바르고 물집이 생기면 중지한다. [중약대사전]
으아리 뿌리의 채취는 가을에 줄기, 잎, 수염뿌리 및 흙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약리작용에서 순환 계통에 대한 작용, 평활근에 대한 작요, 항이뇨 작용, 혈당 저하 작용 등이 밝혀졌다. 맛은 맵고 짜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약간 있다. 방광경, 폐, 신경에 작용한다. 풍사를 몰아내고 습사를 없애고 경락을 소통시키며 가래를 없애며 벽적을 흩어 버리는 효능이 있다. 통풍, 치통, 요슬냉통, 각기, 학질, 파상풍, 편도염, 목안에 뼈가 걸린 것을 치료한다.
하루 7.5~11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또는 술에 담거나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외용시 찧어서 바른다. 임상보고에서 이하선염, 급성 황달형 전염성 간염, 사충병, 관절염, 결막염, 편도염, 목에 가시가 걸린 것에 효험이 있었다.
(글/ 약초연구가 전동명)
|
명량대첩에 대한 잡설.... (0) | 2014.08.02 |
---|---|
위스키 관련 용어에 대한 잡설(펌) (0) | 2014.05.17 |
미개(?)한 국민을 위한...공무원 징계란 이런거다. (0) | 2014.04.22 |
국정원 간첩 조작 사건의 전모 2 - KFC (0) | 2014.03.22 |
국정원 간첩 조작 사건의 전모1 - KFC (0) | 2014.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