春江花月夜(춘강화월야) 봄 강 꽃 달 밤 (봄 강가에 꽃 피고 달 밝은 밤)
春江潮水連海平(춘강조수련해평) 봄 강 물결은 바다에 이어져 잔잔하고
海上明月共潮生(해상명월공조생) 바다 위 밝은 달은 조수와 함께 떠오른다
灎灎隨波千萬里(염염수파천만리) 수면의 달빛은 파도 따라 천만리이니
何處春江無月明(하처춘강무월명) 어느 곳인들 봄 강에 밝은 달 없으랴
江流婉轉繞芳甸(강류완전요방전) 강물은 굽이굽이 흘러 아름답게 꽃 핀 들 감싸고
月照花林皆似霰(월조화림개사선) 달은 꽃 더미를 비추니 온통 싸락눈 같다
空裏流霜不覺飛(공리류상불각비) 하늘에서 서리 내려도 내리는줄 모르겠고
汀上白沙看不見(정상백사간불견) 강가의 흰 모래 보아도 보이지 않는다
江天一色無纖塵(강천일색무섬진) 강물과 하늘은 한 빛이 되어 띠끌 하나 없고
皎皎空中孤月輪(교교공중고월륜) 하늘에는 밝은 달이 외로이 걸려 있다
江畔何人初見月(강반하인초견월) 강가에서 그 누가 처음 달을 보았으며
江月何年初照人(강월하년초조인) 강의 달은 언제 처음 사람을 비췄는가
人生代代無窮已(인생대대무궁이) 인생은 대대로 이어져 끝이 없고
江月年年只相似(강월년년지상사) 강에 비친 달은 해마다 다름이 없다
不知江月待何人(부지강월대하인) 저 강의 달은 누구를 기다리는지 알 수 없지만
但見長江送流水(단견장강송류수) 다만 보이는 것은 장강이 흘려 보내는 물뿐이구나
白雲一片去悠悠(백운일편거유유) 흰구름 한 조각은 유유히 떠가는데
靑楓浦上不勝愁(청풍포상불승수) 청풍 포구에서 시름을 이기지 못한다
誰家今夜扁舟子(수가금야편주자) 뉘 집에서 오늘 밤 조각배를 띄웠으며
何處相思明月樓(하처상사명월루) 어느 곳에서 임 그리며 달 밝은 누각에 올랐나
可憐樓上月徘徊(가련루상월배회) 가련하게도 달이 누각 위에서 서성리며
應照離人粧鏡臺(응조리인장경대) 비추는 것은 이별한 사람의 경대이리니
玉戶簾中捲不去(옥호렴중권불거) 비단 창문의발 걷어도 떠나가지 않고
擣衣砧上拂還來(도의침상불환래) 다듬이 돌 위에서 떨쳐도 다시 온다.
此時相望不相聞(차시상망불상문) 지금 함께 바라보지만 서로 소식 전하지 못하니
願逐月華流照君(원축월화류조군) 밝게 흐르는 달빛 따라 임을 비추고 싶다
鴻雁長飛光不度(홍안장비광불도) 기러기 멀리 날지만 달빛을 넘지 못하고
魚龍潛躍水成文(어룡잠약수성문) 물고기 숨었다 솟았다 물무늬만 이룬다
昨夜閑潭夢落花(작야한담몽락화) 간밤 꿈에 꽃이 물가에 떨어졌지만,
可憐春半不還家(가련춘반불환가) 슬프게도 봄이 다 가도록 집에 못 가니.
江水流春去欲盡(강수류춘거욕진) 강물에 흐르는 봄이 다 가려 하는데,
江潭落月復西斜(강담낙월부서사) 강과 연못에 떨어진 달은 다시 서쪽에 기울었다.
斜月沈沈藏海霧(사월침침장해무) 기운 달은 깊숙이 바다 안개로 숨어드는데,
碣石瀟湘無限路(갈석소상무한로) 갈석에서 소상까지 끝없이 머나먼 길이다
不知乘月幾人歸(부지승월기인귀) 몇 사람이나 저 달 타고 돌아갈는지
落月搖情滿江樹(낙월요정만강수) 지는 달 마음 흔들어 강가의 나무에 가득하다
※ 張若虛(약 660~약 720)는 강소성 양주(揚州) 사람이다. 벼슬은 연주(兗州)의 병조(兵曹)를 역임하였다. 705년 中宗이 복위한 뒤, 하지장(賀知章), 장욱(張旭), 포융(包融)과 함께 오중사사(吳中四士)로 이름났다. 지금 시는 2수만 전한다. 그런데, '春江花月夜'는 1,000년 이상 무수한 독자가 모두 경도(傾倒)한 "시 가운데 시, 정상 위 정상"(聞一多 설)이다. 장약허는 이 시 하나로 해서 대가가 되었다.
출처) : 중국시가선(지영재 편역/을유문화사)
'시,수필,그리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초언니 (0) | 2017.06.16 |
---|---|
도깨비 드라마 에필로그 (0) | 2017.01.24 |
숨쉬기도 미안한 사월....함만복 (0) | 2014.04.29 |
폭포 .....한소원 (0) | 2013.09.14 |
금도끼 은도끼 이야기(펌) (0) | 2012.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