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저런 잡설

OIE에의한 미생물및 동물 병원체 취급 안전등급

수水 2008. 4. 21. 01:44

□ OIE에 의한 미생물 분류 

 - OIE Manual of Diagnostic Tests and Vaccines for Terrestrial Animals
  
  Chapter 1.1.6 사람에 영향을 주는 미생물 분류

 

 ① Group 1 : 사람에 영향을 줄 것 같지 않은 미생물
 ② Group 2 : 사람에 영향을 주나, 전파가 용이 하지 않고, 효과적 예방 치료가
                   가능(인플렌자 A,B,C, ND, Orf (parapox), 다수 세균)
 ③ Group 3 : 사람에 영향을 주고, 전파가 되나, 효과적 예방 치료가 가능

                   (Rabies,Equine encephalomyelitis virus (동, 서부, 베네쥬엘라),

                   JE, Loupingill, 탄저, 부루셀라, 우결핵, Q열, Chlamydia psittaci,

                   Burkholderiamallei, BSE 등)
 ④ Group 4 : 사람에 영향을 주고, 높은 전파 속도 및 효과적인 예방 및 치료가
                   없는 경우(Hendra,Nipha) 

 

 

 

□ 동물 병원체의 분류 (OIE manual Appendix 1.1.6.1)
   : 구체적인 질병 규정은 없으나 카테고리로 분류


 ① Group 1 : 국가적 발생 이나 국가적 통제 필요 없음
 ② Group 2 : 해외 또는 국내 발생이고, 국가적 통제가 필요하나 실험실로부터 전파
              가능성이 낮은 것
     - 전파에 벡터 또는 중간숙주에 의존하지 않음
     - 다른 동물종간 전파가 안됨
     - 실험실에서 누출시 지정학적으로 전파에 한계가 있을 것
     - 동물 대 동물의 직접 전파는 상대적으로 한계
     - 증상 및 감염된 무증상 동물 확인필요가 최소화
     - 질병은 한정된 경제적 피해와 임상증상이 있음
 ③ Group 3 : 해외 또는 국내 발생이고, 국가적 통제가 필요하나 실험실로부터 전파
             가능성이 중등도인 것
     - 전파에 벡터 또는 중간숙주에 의존함
     -  다른 동물종간 전파가 쉽게 가능
     - 실험실에서 누출시 지정학적으로 중등도 전파가 가능
     - 동물 대 동물의 직접 전파는 쉽게 전파
     - 증상, 감염, 접촉동물의 법적인 확인이 필요한 경우
     - 질병은 심각한 경제적 피해 와 임상증상이 있음
     - 예방과 치료가 쉽지 않음
 ④ Group 4 : 해외 또는 국내 발생이고, 국가적 통제가 필요하나 실험실로부터 전파
              가능성이 높은 것
    - 전파에 벡터 또는 중간숙주에 의존함
    - 다른 동물종간 전파가 매우 쉽게 가능
    - 실험실에서 누출시 지정학적으로 넓게 전파가 가능
    - 동물 대 동물의 직접 전파는 매우 쉽게 전파
    - 동물이동의 법적 통제가 필요
    - 질병은 극심한 경제적 피해 와 임상증상이 있음
    - 만족할 만한 예방법이 없고 치료가 불가능함

 

□ Containment Level (OIE)
  ① Group 2 병원체
    ․Class I급 cabinet, Class II급도 사용할 수 있음(에어로졸 발생시),
      긴급실험실 매뉴얼, 화재경보기 등
  ② Group 3 병원체
    ․출입제한, 긴급실험실 매뉴얼, BSL3급 이상을 요구함, 음압 유지, 알람 시스템,
      HEPA를 통한 공기제거, HEPA가 있는 cabinet, 훈증에 저항성이 있고 봉쇄
      되어야 함, cabinet은 Class1, II 또는 III가 필요
    ․나올 때 샤워가 필요
    ․BSE는 사람 vCJD와 관련되므로 엄격한 관리 필요
    ․장갑 및 옷 등 엄격한 관리 및 국가 실험실에서 수행하여야 함
 ③ Group 4 병원체
    ․Air-lock, 내부공기는 하나의 HEPA를 통과하여 2중 HEPA를 통해 추출
    ․Class III cabinet, 일체형 양압복이 국제공인, 샤워 및 옷 교체 필수

 

 

□ 국내 인체 위협 미생물의 기본 분류기준

 

 미생물을 4가지 위험군으로 분류 (보건복지부)

제 1 위험군(RG 1)

건강한 성인에게서 질병을 일으키지 않는 생물체

제 2 위험군(RG 2)

사람에게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생물체이나 증세가 심각하지 않고 예방과 치료가 용이한 경우

제 3 위험군(RG 3)

사람에게 심각하고 때로 치명적인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생물체이지만 예방과 치료가 가능한 경우

제 4 위험군(RG 4)

사람에게 심각하고 때로 치명적인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생물체이며 예방과 치료가 거의 어려운 경우

 

 

 

 

고위험병원체 검사・이동 및 폐기 등에 관한 안전관리규정 개정안

 

[별표1]               고위험병원체별 밀폐등급(제4조 관련)

 

고위험병원체

밀폐등급

1. 세균 및 진균

 

가. 페스트균(Yersinia pestis)

3등급

나. 탄저균(Bacillus anthracis)

2 또는 3등급

다. 양 브루셀라균(Brucella melitensis)

3등급

라. 돼지 브루셀라균(Brucella suis)

3등급

마. 비저균(Burkholderia mallei)

3등급

바. 장출혈성대장균 O157(Escherichia coli O157)

2등급

사. 멜리오이도시스균(Burkholderia pseudomallei)

3등급

아. 보툴리눔균(Clostridium botulinum)과 그 독소

2 또는 3등급

자. 큐열균(Coxiella burnetii)

3등급

차. 야토균(Francisella tularensis)

3등급

카. 발진티푸스균(Rickettsia prowazekii)

3등급

타. 홍반열 리케치아균(Rickettsia rickettsii)

3등급

파. 콕시디오이데스 이미티스균(Coccidioides immitis)

3등급

하. 콜레라균(Vibrio cholerae O1․O139)

2등급

2. 바이러스 및 프리온

 

가. 헤르페스 B 바이러스

  (Cercopithecine herpesvirus 1, Herpes B virus)

4등급 

나. 크리미안 콩고 출혈열 바이러스

   (Crimean-Congo haemorrhagic fever virus)

4등급

다. 이스턴 이콰인 뇌염 바이러스(Eastern Equine Encephalitis virus)

2등급

라. 에볼라 바이러스(Ebola virus)

4등급

마. 헨드라 바이러스(Hendra viruses)

4등급

바. 라싸 바이러스(Lassa virus)

4등급

사. 마버그 바이러스(Marburg virus)

4등급

아. 원숭이폭스 바이러스(Monkeypox virus)

3등급

자. 니파 바이러스(Nipah virus)

4등급

차. 리프트 벨리열 바이러스(Rift Valley fever virus)

3등급

카. 남아메리카 출혈열 바이러스

   (South American Haemorrhagic Fever viruses)

4등급

타. 진드기 매개 뇌염 바이러스

   (Tick-borne encephalitis complex (flavi) viruses)

3등급

파. 두창 바이러스(Variola virus)

4등급

하. 소두창 바이러스(Variola minor virus, Alastrim)

3등급

거. 베네주엘라 이콰인 뇌염 바이러스

   (Venezuelan Equine Encephalitis virus)

3등급

너.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 바이러스

3등급

더. 조류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 바이러스

3등급

러. 우해면양 뇌병증 병원체 (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 agent)

3등급